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94 브라운아웃(Brownout) 브라운아웃(Brownout)이란?1. 전기 공급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의미한다.2. 이 현상은 전력망의 전압이 정상 수준보다 낮아지지만, 완전히 전기가 끊기는 정전(Blackout)과는 달리 전원이 약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주요 특징1. 전압 강하브라운아웃은 전력망에서 공급 전압이 정상 수준보다 낮아진 상태이다.예를 들어, 220V의 전압을 공급해야 하는 전력망에서 일시적으로 190V로 전압이 떨어지는 경우가 브라운아웃이다. 2. 원인과부하전력망에 연결된 기기들이 갑자기 많은 전력을 요구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수요 초과특정 시간대에 전력 수요가 공급량을 초과할 때 일어날 수 있다. 발전소 문제발전소의 일시적인 장애나 출력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3. 영향가전제품 및 전자기기 손.. 2024. 8. 26.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어큐뮬레이터 (Accumulator)란? 1. 어큐뮬레이터는 주로 디지털 회로 설계 또는 컴퓨터 구조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2. 누적된 값을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레지스터나 변수이다.정의어큐뮬레이터는 연산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프로세서의 연산 장치에서 연산 작업을 수행할 때, 중간 결과나 최종 결과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작동 방식예를 들어, 반복적인 덧셈 연산에서 어큐뮬레이터는 이전 연산의 결과를 저장하고, 새로운 연산이 수행될 때 이 값을 사용하여 다음 결과를 계산한다.즉, 반복적으로 계산된 값이 어큐뮬레이터에 계속해서 누적된다.사용 사례어큐뮬레이터는 간단한 산술 연산뿐만 아니라,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에서 필터링이나 신호 합성 같은 복잡한 계산 작업에.. 2024. 8. 25. CIR(Committed Information Rate) CIR이란?1. CIR(Committed Information Rate)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약속된 정보 전송률을 의미한다.2. 이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에게 일정 수준의 전송 대역폭을 보장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이다.정의CIR은 네트워크 계약에 따라 최소 보장되는 대역폭이다.서비스 제공자는 이 속도 이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보장한다.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이 속도를 초과하는 데이터 전송이 발생할 수도 있다.작동 방식CIR은 주로 가상 전용 네트워크(VPN)나 비동기 전송 모드(ATM) 같은 기술에서 사용된다.네트워크는 CIR 이하의 트래픽에 대해 항상 전달을 보장한다.CIR을 초과하는 트래픽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전송이 지연되거나 손실될 수 있다.예시1.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2024. 8. 24. MIC(Message Integrity Code) MIC이란?1. MIC는 Message Integrity Code 또는 Message Integrity Check의 약자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코드를 의미한다.2. MIC는 전송된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또는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MIC의 주요 역할데이터 무결성 확인MIC는 전송된 메시지나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성된 고유한 코드이다.수신 측에서 이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전송 중에 변조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변조 방지전송된 데이터와 함께 MIC가 전달되면, 수신자는 동일한 방식으로 MIC를 계산하여 전송된 MIC와 비교한다.만약 두 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위변조되었거나 손상된 것으로 간주된다. 보안 강화MIC는 데이터를 인증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 전송 중 .. 2024. 8. 23. 논스(Nonce) 논스(Nonce)란?1. 논스(Nonce)는 "Number used once"의 약자이다.2. 암호학 및 컴퓨터 보안에서 한 번만 사용되는 임의의 값 또는 숫자를 의미한다.3. 논스는 보안 프로토콜에서 반복 공격(Replay Attack)을 방지하거나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사용된다.주요 특징 및 사용 사례한 번만 사용논스는 같은 값을 두 번 다시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이것은 보안 프로토콜에서 공격자가 이전에 사용된 논스를 재사용하여 시스템을 속이는 것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의성 또는 순차성논스는 임의의 값(random value)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값(sequential value)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중요한 것은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논스.. 2024. 8. 22. 카운터 모드(CTR Mode) 카운터 모드(CTR Mode)란?1. 카운터 모드(Counter Mode, CTR Mode)는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의 운영 모드 중 하나로, 암호화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2. 이 모드는 주로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와 같은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용되며, 여러 가지 이점과 독특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한다.3. 카운터 모드는 성능과 보안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암호화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한 모드로 널리 사용된다.카운터 모드(Counter Mode, CTR)의 주요 특징1. 블록 암호화에서의 카운터 사용카운터 모드는 각 블록에 대해 카운터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 작업을 수행한다.카운터 값은 일반적으로 시작값(.. 2024. 8. 21. AES에서 GCM과 CCM GCM과 CCM이란?1. AES 코어 유형 중 GCM과 CCM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알고리즘의 모드를 의미한다.2. 이 모드는 암호화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과 인증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3. 이 두 가지 모드는 각각 고유한 방식으로 암호화와 인증을 결합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AES란?2024.08.18 - [임베디드 용어 정리] - AES-DMA 엔진 AES-DMA 엔진AES-DMA 엔진이란? 1. AES-DMA 엔진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와 DMA(Direct Memory Access) 기능을 결합한 하드웨어 모듈 또는 엔진을 의미한다.2. 이 두 가지 기술의 조합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kfdd6630.tist.. 2024. 8. 20. AES-DMA 엔진 AES-DMA 엔진이란? 1. AES-DMA 엔진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와 DMA(Direct Memory Access) 기능을 결합한 하드웨어 모듈 또는 엔진을 의미한다.2. 이 두 가지 기술의 조합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면서도 시스템 자원의 사용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이 엔진은 임베디드 시스템, 네트워크 장비, 스토리지 장치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4. AES-DMA 엔진을 사용하면, 데이터 전송 중에 암호화 작업을 수행할 때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각각의 구성 요소1.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AES는 대칭 키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2024. 8. 19. 패킷 PHR 패킷의 PHR(Physical layer Header)1. 패킷의 PHR(Physical layer Header)이란 물리 계층에서 사용하는 물리 계층 헤더를 의미한다.2. PHR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 프레임 또는 패킷의 주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정보를 통해 수신 측 장치가 패킷을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3. PHR은 일반적으로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이상의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물리 계층으로 전송할 때 첨부되며, 수신 측에서 해당 데이터를 올바르게 처리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4. PHR의 정확한 구성과 내용은 사용하는 통신 표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5. 예를 들어, IEEE 802.15.4 표준에서는 PHR이 프레임의 .. 2024. 8. 18. ACK 전송에서 n심볼 +/- 0.m심볼 턴어라운드 시간이란? IEE 802.15.4 표준에서 ACK(acknowledgment) 전송에 대해 n심볼 +/- 0.m 심볼 턴어라운드 시간 IEEE 802.15.4 표준에서 ACK(acknowledgment) 전송에 대해 n심볼 +/- 0.m심볼 턴어라운드 시간을 지정한다는 것이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 측이 발신 측에게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는 ACK를 보내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1. 심볼(Symbol)통신 시스템에서 심볼은 하나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다.EEE 802.15.4에서는 심볼은 물리적인 전송 신호로, 전송 속도에 따라 심볼 시간의 길이가 결정된다.2. 턴어라운드 시간(Turnaround Time)이는 송신에서 수신으로, 혹은 수신에서 송신으로 전환하는 데 걸.. 2024. 8. 17.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