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베디드 용어 정리34

비휘발성 메모리 총 정리 🧠 비휘발성 메모리 종류 및 비교1.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는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메모리2. EEPROM과 Flash 외에도 여러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가 존재하며, 각기 다른 특성과 용도를 가짐 📦 1. Flash Memory항목내용형태NAND, NOR장점고용량, 저비용, 코드 실행(XIP 가능)단점섹터 단위 지우기, 쓰기 느림, 수명 한계사용 예시MCU 내장 플래시, SSD, SD 카드, USB📦 2.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항목내용형태내장/외장 (I2C/SPI)장점바이트 단위 쓰기 가능, 수명 길고 안정적단점용량 작음, 느린 속도사용 예시센서 보정값, ID, 설정값 저장📦 3. FRAM(F.. 2025. 4. 18.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EEPROM이란?1. EEPROM은 전기를 이용해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임2. MCU 등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설정값, 보정값, 카운터, 고유 ID 등의 저장에 널리 사용됨 🧠 기본 개념비휘발성 메모리: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됨읽기/쓰기 모두 가능바이트 단위 접근 가능 (Flash보다 세밀한 제어)Flash보다 쓰기 수명이 길고 구현 간편⚙️ 동작 특성항목설명저장 방식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 기반 비휘발성 저장읽기빠름, 일반적으로 I2C/SPI 통신 기반쓰기보통 수 밀리초(5~10ms), 일부는 페이지 버퍼 지원쓰기 단위바이트 단위 or 페이지 단위 (보통 16/32/64바이트 단위로 최적화됨)지우기 단위없음 — 바이트 단위로 덮어쓰기 가능내구성보통 1,000,000회 이상의.. 2025. 4. 16.
Flash Memory 💾 Flash Memory란?1. Flash Memory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의 일종임2. 오늘날 대부분의 임베디드 시스템, MCU, SSD, USB 등에서 널리 사용됨 📌 기본 개념비휘발성 메모리: 전원 제거 후에도 데이터를 보존EEPROM과 달리 블록 또는 섹터 단위로 데이터를 지우고 씀NAND와 NOR 두 가지 기본 구조가 있음🧠 내부 동작 구조셀(cell): 트랜지스터 기반 저장 구조로 0 또는 1을 저장페이지(page): 가장 작은 쓰기 단위 (보통 256~2048 bytes)섹터/블록(block): 가장 작은 지우기 단위 (보통 4KB~64KB)읽기(read): 개별 바이트 또는 페이지 단위 가능 (빠름)쓰기(write):.. 2025. 4. 15.
[UWB] TWR vs DS-TWR UWB 거리 측정 방식 정리 – TWR vs DS-TWRUWB(Ultra-Wideband)를 사용한 거리 측정에 자주 사용하는 두 가지 방식TWR (Two-Way Ranging) 와 DS-TWR (Double-Sided Two-Way Ranging) 1️⃣ TWR (Two-Way Ranging)🧩 개념Anchor가 먼저 Poll 메시지를 전송Tag는 수신 후 일정 시간 후에 Response를 전송Anchor가 왕복 시간(T_round)에서 Tag의 응답 지연(T_reply)을 빼서 거리 계산⏱️ 거리 계산 공식T_propagation = (T_round - T_reply) / 2 Distance = T_propagation × speed_of_light✅ 장점구현이 단순Tag 측 연산과 메모리 부담이.. 2025. 4. 12.
[UWB] PHR, PHY Payload PHR (Physical Layer Header), PHY Payload (Physical Layer Payload) 1. 초광대역(UWB) 통신의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atov 프리앰블, SFD, STS, PHR, PHY 페이로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적 요소로,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2. 각각의 요소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동기화와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3. 각 요소는 함께 작동하여 UWB 시스템에서 정확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높은 데이터 속도, 안전한 통신 및 정확한 범위를 지원하기 위해 HRP UWB PHY에서 필수적이다.PHR (Physical Layer Header)설명1. PHR은 Physical Laye.. 2024. 10. 7.
[UWB] STS(Scrambled Timestamp Sequence) STS(Scrambled Timestamp Sequence)1. 초광대역(UWB) 통신의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atov 프리앰블, SFD, STS, PHR, PHY 페이로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적 요소로,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2. 각각의 요소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동기화와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설명1. STS(Scrambled Timestamp Sequence)는 IEEE 802.15.4z 표준에서 도입된 개념이다.2. 초광대역(UWB) 통신의 보안 및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3. STS는 주로 물리 계층의 보안 강화와 위치 추적의 정확성 증대를 위해 사용된다.4. 이를 통해 신호가 외부 간섭에 강하고, 데이터 전송 중에 발.. 2024. 9. 28.
[UWB] SFD(Start Frame Delimiter) SFD(Start Frame Delimiter), 시작 프레임 구분자1. 초광대역(UWB) 통신의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atov 프리앰블, SFD, STS, PHR, PHY 페이로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적 요소로,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2. 각각의 요소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동기화와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FD(프레임 구분 기호)1. 올바른 정렬을 위해 데이터 프레임의을 표시한다. 2. 이 중에서 데이터의 시작 프레임을 표시하는 것을 SFD라 한다. 설명1. SFD는 Start Frame Delimiter의 약자로, 프리앰블 다음에 오는 고유한 비트 시퀀스이다.2. 이는 데이터 프레임의 실제 시작점을 표시한다.역할1. SFD는 수신기에게 프레.. 2024. 9. 27.
[UWB] Ipatov Preamble Ipatov Preamble1. 초광대역(UWB) 통신의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atov 프리앰블, SFD, STS, PHR, PHY 페이로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적 요소로,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2. 각각의 요소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동기화와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설명1. Ipatov 프리앰블은 UWB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리앰블의 일종이다.2. 특정한 패턴의 비트 시퀀스로 구성된다.3. 프리앰블은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위치한다.4. 수신기가 송신기의 신호에 대해 동기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역할1. Ipatov 프리앰블은 주로 수신기의 신호 탐지 및 동기화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2. 채널 상태를 분석하고 이후 데이터 전송을 준비.. 2024. 9. 26.
프리앰블(Preamble) 프리앰블(Preamble)프리앰블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프레임이나 패킷의 시작 부분의 특별한 비트 패턴이나 신호 시퀀스를 의미한다.프리앰블의 목적은 수신기가 수신 신호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데 있다.프리앰블의 주요 기능동기화1. 프리앰블은 수신기가 송신기의 신호에 대해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2. 통신 채널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기에서 안정적으로 해석되기 위해서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클럭이 일치해야 한다.3. 프리앰블을 통해 수신기는 송신 신호의 클럭 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다채널 상태 분석1. 프리앰블은 수신기가 현재 통신 채널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2. 특히 무선 통신에서는 신호 강도, 신호 왜곡, 잡음 레벨 등을 평가하는 데 사.. 2024. 9. 25.
[UWB] TDOA vs PDOA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와 PDOA(Phase Difference of Arrival)1. 두 방법은 위치 추적 및 측정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주요 기술이다. 2. 두 방법은 주로 초광대역(UWB) 통신을 사용하여 고정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데 활용된다.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TDOA는 신호가 여러 수신기에 도달하는 시간을 비교하여 발신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주요 특징1. 동작 원리TDOA는 여러 개의 수신기가 필요하다.발신기가 신호를 송출하면, 이 신호가 각각의 수신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수신기 간의 도달 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신호가 발신된 위치를 삼변측량(Trilateration) 등의 방식으로 계산한다. 2... 2024. 9.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