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베디드 용어 정리30

[UWB] PHR, PHY Payload PHR (Physical Layer Header), PHY Payload (Physical Layer Payload) 1. 초광대역(UWB) 통신의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atov 프리앰블, SFD, STS, PHR, PHY 페이로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적 요소로,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2. 각각의 요소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동기화와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3. 각 요소는 함께 작동하여 UWB 시스템에서 정확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높은 데이터 속도, 안전한 통신 및 정확한 범위를 지원하기 위해 HRP UWB PHY에서 필수적이다.PHR (Physical Layer Header)설명1. PHR은 Physical Laye.. 2024. 10. 7.
[UWB] STS(Scrambled Timestamp Sequence) STS(Scrambled Timestamp Sequence)1. 초광대역(UWB) 통신의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atov 프리앰블, SFD, STS, PHR, PHY 페이로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적 요소로,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2. 각각의 요소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동기화와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설명1. STS(Scrambled Timestamp Sequence)는 IEEE 802.15.4z 표준에서 도입된 개념이다.2. 초광대역(UWB) 통신의 보안 및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3. STS는 주로 물리 계층의 보안 강화와 위치 추적의 정확성 증대를 위해 사용된다.4. 이를 통해 신호가 외부 간섭에 강하고, 데이터 전송 중에 발.. 2024. 9. 28.
[UWB] SFD(Start Frame Delimiter) SFD(Start Frame Delimiter), 시작 프레임 구분자1. 초광대역(UWB) 통신의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atov 프리앰블, SFD, STS, PHR, PHY 페이로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적 요소로,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2. 각각의 요소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동기화와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FD(프레임 구분 기호)1. 올바른 정렬을 위해 데이터 프레임의을 표시한다. 2. 이 중에서 데이터의 시작 프레임을 표시하는 것을 SFD라 한다. 설명1. SFD는 Start Frame Delimiter의 약자로, 프리앰블 다음에 오는 고유한 비트 시퀀스이다.2. 이는 데이터 프레임의 실제 시작점을 표시한다.역할1. SFD는 수신기에게 프레.. 2024. 9. 27.
[UWB] Ipatov Preamble Ipatov Preamble1. 초광대역(UWB) 통신의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atov 프리앰블, SFD, STS, PHR, PHY 페이로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적 요소로,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2. 각각의 요소들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동기화와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설명1. Ipatov 프리앰블은 UWB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리앰블의 일종이다.2. 특정한 패턴의 비트 시퀀스로 구성된다.3. 프리앰블은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위치한다.4. 수신기가 송신기의 신호에 대해 동기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역할1. Ipatov 프리앰블은 주로 수신기의 신호 탐지 및 동기화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2. 채널 상태를 분석하고 이후 데이터 전송을 준비.. 2024. 9. 26.
프리앰블(Preamble) 프리앰블(Preamble)프리앰블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프레임이나 패킷의 시작 부분의 특별한 비트 패턴이나 신호 시퀀스를 의미한다.프리앰블의 목적은 수신기가 수신 신호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데 있다.프리앰블의 주요 기능동기화1. 프리앰블은 수신기가 송신기의 신호에 대해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2. 통신 채널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기에서 안정적으로 해석되기 위해서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클럭이 일치해야 한다.3. 프리앰블을 통해 수신기는 송신 신호의 클럭 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다채널 상태 분석1. 프리앰블은 수신기가 현재 통신 채널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2. 특히 무선 통신에서는 신호 강도, 신호 왜곡, 잡음 레벨 등을 평가하는 데 사.. 2024. 9. 25.
[UWB] TDOA vs PDOA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와 PDOA(Phase Difference of Arrival)1. 두 방법은 위치 추적 및 측정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주요 기술이다. 2. 두 방법은 주로 초광대역(UWB) 통신을 사용하여 고정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데 활용된다.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TDOA는 신호가 여러 수신기에 도달하는 시간을 비교하여 발신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주요 특징1. 동작 원리TDOA는 여러 개의 수신기가 필요하다.발신기가 신호를 송출하면, 이 신호가 각각의 수신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수신기 간의 도달 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신호가 발신된 위치를 삼변측량(Trilateration) 등의 방식으로 계산한다. 2... 2024. 9. 24.
HRP UWB PHY HRP UWB PHY1. HRP UWB PHY는 "High Rate Pulse Ultra-Wideband Physical Layer"의 약자이다.2. 초광대역(UWB, Ultra-Wideband) 통신 기술에서 사용되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을 나타낸다.3. HRP UWB PHY는 특히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저전력 소모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HRP UWB PHY의 주요 특징1. 고속 데이터 전송HRP UWB PHY는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초광대역 기술은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이 특성 덕분에 HRP UWB PHY는 실시간 통신이나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 2024. 9. 23.
IEEE802.15.4z BPRF IEEE802.15.4z BPRF 모드 1. IEEE 802.15.4z는 초광대역(UWB, Ultra-Wideband) 통신을 위한 표준 중 하나이다.2. 특히 근거리 통신 및 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한다.3. 이 표준은 기존의 IEEE 802.15.4a UWB 표준을 확장하고 개선한 버전이다.4. BPRF(Burst Pulse Repetition Frequency) 모드는 IEEE 802.15.4z 표준의 중요한 부분으로 특정 전송 모드를 나타낸다.BPRF 모드의 특징1. 높은 신뢰성BPRF 모드는 더 많은 펄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전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이는 특히 무선 환경이 복잡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낮은 전력 소비UWB 기술은 본래 낮은 전력 .. 2024. 9. 22.
MAC ID, PAN ID MAC ID와 PAN IDMAC ID와 PAN ID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식별자로, 각각 네트워크 장치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이 두 가지는 주로 IEEE 802.15.4 표준을 따르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예: Zigbee)에서 자주 사용된다.1. MAC ID (Media Access Control Identifier)정의1. MAC ID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하드웨어 주소이다.2. 이는 MAC 주소라고도 불리며,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고유하게 부여된다. 구조1. 일반적으로 48비트(6바이트) 길이로, 16진수로 표현된다.2. 예시: 00:1A:7D:DA:71:133. 앞의 24비트는 제조업체를 식별하는 OUI(Organizationally Un.. 2024. 9. 21.
RXFR 이벤트 상태비트 RXFR 이벤트 상태비트1. RXFR 이벤트 상태비트는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버퍼(Receive Buffer)와 관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이다.2. 이 비트는 수신된 데이터가 처리되었거나 수신 버퍼가 특정한 상태에 있을 때 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3.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나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동작 방식은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다.RXFR 이벤트 상태비트의 주요 개념RX (Receive)RX는 "Receive"의 약자로, 데이터 수신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가리킨다.RXFR 상태비트는 수신 측에서 데이터가 버퍼로 들어왔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FR (Flag/Ready)FR은 Flag 또는 Ready를 의미할 수 있다.이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나타.. 2024. 9.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