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에 있는 저장소를 Github와 연결하는 방법 2가지 상황
1. 최초 README.md 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막 만든 로컬 저장소를 깃허브에 연결할 때
echo "# repositoryName" >> README.md
git init
git add README.md
git commit -m "first commit"
git branch -M main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 주소]
git push -u origin main
2. 이미 로컬 저장소가 "다른 곳"에 연결되어 있어 새로운 깃허브에 연결할 때
- 위와 같은 상황의 "다른 곳"은 다른 깃허브 repository 혹은 같은 깃허브 내의 다른 branch를 이야기한다.
git remote add [브랜치명] [깃허브 주소]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브랜치명] main
아래 두 상황에서 위와 같이 다른 깃허브 혹은 같은 깃허브의 다른 브랜치와 연결할 수 있다.
1. 이미 origin으로 생성된 branch가 다른 깃허브에 연결는 상황
2. 같은 깃허브 다른 branch가 이미 origin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황
연결하면서 혹시 SSH key가 필요하다면 아래와 같이하면 된다.
2023.06.15 - [개발 환경세팅/Github] - [Github] 새 SSH 키 생성 및 ssh-agent에 추가
[Github] 새 SSH 키 생성 및 ssh-agent에 추가
Github의 private인 repository에 사용하는 SSH키 생성 및 ssh-agent에 추가하기 SSH 키 암호정보 SSH를 사용하여 Github.com의 리포지토리에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SSH를 통해 연결할 때 로컬 머신에서 priv
kfdd6630.tistory.com
2023.06.26 - [개발 환경세팅/Github] - [Github] GitHub 계정에 새 SSH 키 추가하는 방법
[Github] GitHub 계정에 새 SSH 키 추가하는 방법
GitHub 계정에 새 SSH 키 추가하는 방법, windows와 mac 그리고 linux_SSH key 복사하는 방법 2023.06.18 - [개발 환경세팅/Github] - [Github] 새 SSH 키 생성 및 ssh-agent에 추가 [Github] 새 SSH 키 생성 및 ssh-agent에 추가
kfdd6630.tistory.com
'개발 환경세팅 > Git,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Github] Submodule 정리 (0) | 2024.09.16 |
---|---|
[Git/Github] Commit Message Convention (0) | 2024.06.05 |
[Github] Git CLI와 GitHub CLI, git CLI vs gh CLI (0) | 2024.01.07 |
[Github] GitHub 계정에 새 SSH 키 추가하는 방법 (0) | 2023.06.27 |
[Github] 새 SSH 키 생성 및 ssh-agent에 추가 (1) | 2023.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