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Markdown

Emoji 모음

by minhyeok.lee 2025. 4. 3.
반응형

📝 Emojis

Commit Message Convention, 문서 정리에 필요한 Emoji들 모음


📜 커밋 이모지

커밋 메시지 작성 시 참고하거나 문서 작성 시 섹션 구분용으로 활용하기 좋음


🎯 기능 및 구조 관련

이모지 의미 (한글)
🎉 초기 커밋 – 프로젝트의 기본 구조 및 필수 파일을 세팅한 최초 커밋
새로운 기능 추가 – 프로젝트에 새로운 기능 또는 기능 단위 코드 추가
💥 호환성 깨짐 (Breaking change) – 이전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 변경 포함
🚑 긴급 수정 (Hotfix) – 즉시 처리되어야 하는 중요한 버그나 장애 수정
🐛 버그 수정 – 기존 코드의 버그 해결
⚡️ 일반 업데이트 – 정리, 의존성 업데이트 등 전반적인 개선 사항
🐎 성능 개선 – 실행 속도, 리소스 최적화 등 성능 향상 작업
♻️ 코드 리팩토링 – 기능은 동일하지만 코드 구조를 개선
🎨 형식/구조 개선 – 가독성을 위한 코드 포맷 정리
🔖 버전 태그 지정 – 릴리즈 버전 지정 또는 태깅
✏️ 이름 수정 – 변수, 파일명, 기호 이름 등을 명확하게 변경
🔥 코드/파일 제거 – 사용하지 않는 코드나 라이브러리 삭제
🗑️ 불필요한 요소 정리 – 미사용 변수 제거, 스타일 정리 등

 


🧪 테스트 관련

이모지 의미 (한글)
테스트 추가/수정 – 테스트 케이스 추가 또는 기존 테스트 업데이트
🔨 테스트 수정 – 실패하거나 누락된 테스트 코드 보완
📚 문서화 – 사용자 문서, 사용법, README 등 문서 추가/수정
💡 소스 코드 내 주석 추가 – 코드 안 주석이나 내부 문서 작성
🗃️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 설정 파일이나 패키지 관련 메타데이터 변경
📜 Git 관련 메타데이터 수정 – .gitignore, Git hook 등 변경
🛑 Git 추적 중단 – 파일을 로컬에는 유지하되 Git 추적 대상에서 제외
🚫 Git 무시 파일 설정 – .gitignore 파일 수정

 


🔐 보안 및 CI/CD 관련

이모지 의미 (한글)
💚 CI 관련 수정 – GitHub Actions 등 지속적 통합 관련 수정
🔒 보안 업데이트 – 취약점 보완, 보안 정책 개선 등

 


🎨 UI 및 스타일 관련

이모지 의미 (한글)
💄 UI 개선 (Cosmetic) –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시각적 변경
👕 린트(Lint) 수정 – 코드 스타일 검사기(Linter) 관련 문제 해결

 


📦 의존성 관리

이모지 의미 (한글)
⬆️ 의존성 업그레이드 – 패키지, 라이브러리 버전 상향
⬇️ 의존성 다운그레이드 – 안정성이나 호환성 문제로 버전 낮춤
📌 의존성 고정 – 특정 버전 고정(Pin)으로 예기치 않은 변경 방지

 


🌍 다국어 및 번역 관련

이모지 의미 (한글)
👽 번역 추가/수정 – 다국어 번역 기능 적용
🌐 국제화/지역화(i18n) – 지역 및 언어 기반 로컬라이징 적용

 

 

필요 시 이 이모지를 기반으로 커밋 메시지를 자동 추천하거나, 마크다운 문서의 섹션 구분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


🗃️ 기타

이슈, 테스트, 발견 사항, 회의 기록, 개선안 등을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카테고리별 이모지 목록을 아래 정리
이모지는 깃허브 커밋 메시지, MD 문서 제목, 회의 정리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

📌 이슈 및 버그 관련

이모지 의미
🐛 버그 발생 (bug)
🚨 긴급 이슈 (critical issue, urgent)
일반적인 문제점 (issue, caution)
⚠️ 경고 사항 (warning, unstable state)
💥 시스템 장애, 에러 (crash, explosion)
🧯 이슈 진화, 긴급 대응 조치

 


🧪 테스트 및 검증

이모지 의미
🧪 테스트 중 (testing in progress)
테스트 통과 (pass)
테스트 실패 (fail)
🔍 테스트 결과 분석 (analyzing test)
📊 테스트 결과 요약 (test summary/report)
🧫 실험 환경 구성 (experiment setup)
🧵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 (threaded test cases)

 


🛠️ 개선 / 수정 / 보완

이모지 의미
🔧 설정 변경, 수정사항 (tweak)
🛠️ 기능 개선, 리팩토링
♻️ 코드/문서 재정비 (refactor, cleanup)
🔄 기능 반복 테스트 혹은 재작업
🩹 간단한 수정, 응급 패치
🔨 대규모 수정, 구조 변경

 


📋 문서 및 기록

이모지 의미
📋 회의록, 기록 시작 (meeting note, summary)
📝 기록, 문서화 작업 (documentation)
📄 관련 문서 첨부 (linked doc)
📌 요점 정리, 중요 포인트
📎 파일 첨부, 참고자료
🗂️ 폴더/파일 구성 정리

 


📦 배포 및 버전 관련

이모지 의미
🚀 배포, 릴리즈 (release, deploy)
🧩 모듈 추가/제거 (plugin, part)
🔖 버전 태그 추가 (tag, milestone)
📦 패키지 관련 작업 (package updates)

 


🔍 분석 및 리서치

이모지 의미
🔍 원인 분석, 정밀 조사
🧠 아이디어 정리, 기획 회의
🧾 로그 분석, 데이터 확인
🧮 수치 기반 검토, 퍼포먼스

 


📅 일정 및 일정 관리

이모지 의미
🗓️ 일정 조율, 회의 계획
⏱️ 마감 임박, 시간 이슈
🕒 시간 소요 분석
진행 중 상태

 


🌍 현장/지역/디바이스 구분용

이모지 의미
🌍 글로벌 이슈
🏝️ 타지 관련 이슈
📡 장비 통신, 연결 상태
🤖 로봇/장비 관련 작업

사용 예제

필요한 사용 시나리오별로 조합해서 쓰면 됌

  • 🐛 fix(motor): 테스트 중 구동 전류 과다 이슈 확인
  • 📋 docs(meeting): 12월 12일 미팅 정리 및 조치 내역
  • 🛠️ feat(drivetrain): 장력 최적화 및 윤활 시스템 개선
반응형

'언어 > Markdow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크다운 문법 정리  (0) 2025.04.06

댓글